안녕하세요 ~ 섭스입니다...
저의 애물단지 06 R1 SP 도미노 반그립 작업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요즘 신형바이크이 워낙 잘 만들어지기 때문에~
노친네에게 업그레이드를 시켜주다보니~
도미노 반그립 까지 하게 되었네요~
제가 즐겁게 타기 위해서 튜닝이란 튜닝은 거의 다 해놓았는데요~
남은게 있다면 브램보 브레이크 시스템 정도???
마그네슘 휠이나 카본휠같은것도 끼워보고 싶은 마음은 굴둑 같으나, 거의 반 미치지 않아서야
브램보 브레이크 시스템 과 휠은 쫌^^
앞으로도 거기까지는 손을 안댈꺼 같습니다..ㅋㅋㅋ
자 이제 도미노 반그립 작업에 들어갑니다..
저는 원래 맞겨놓고 찾아가는 그런 것보다는 직접 옆에서 보고, 배우고, 도와드리면서 하는걸 좋아하는지라~
클럽장과 미리 약속하고, 퇴근후 빛의 속도로 방문한후에 작업을 시작 하게 되었지요~
이제 사진과 함께 설명 드립니다..
참고로 저는 기계쟁이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용어같은건 잘 모르구요~
이해쉽도록 풀어서 쓰는거니 전문용어 틀렸다고
악플다시는 분들~~ 사랑할껍니다..ㅋㅋㅋ
자 이제 시작해 보겠습니다...
현재 브렘보 마스터 실린더까지 튜닝해놓은 제 애물단지 SP입니다..
예전 까페 스티커가 보이네요^^새월의 흔적과 새차를 하도 많이 하다보니 코팅이 다 벗겨지네요 ㅋㅋㅋ
일단 순정 그립과 케이블을 보여드리고자 사진을 찍었습니다..
알원 04~06년식은 반그립 작업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전용 케이블도 안나오기에 범용으로 정확하게 잘라서 만들어야 하는거죠~ ㅠㅠ
거기다 스로틀바디 바로 앞에 있다보니~ 에어 크리너 박스를 모두 제거 해야 합니다..ㅠㅠ
앗~ 저기 2개의 정체불명의 선이 궁금하시죠???
제가 전기전공이다보니 나름 머리를 써서 HID전력 보강용 릴레이 개조후 시거잭을 윈도우 스크린 안쪽에 설치하였습니다...
시거잭에 릴레이 설치시 장점은
베터리 방전요소도 제거되며, 베터리에서 직접 전력을 공급해주기때문에 저전압으로 생기는 문제점등을 보완할수있습니다..^^
에어 크리너 박스를 제거하기 위해서 분해하니 BMC 흡기 필터도 확인겸 탈거중입니다.. 올해 2월에 청소를 해놓았는데~ 아직 짱짱하네요~ 벌써 8월이니 1년에 한번씩 청소해주면 될듯 합니다..
참고로 순정 에어필터는 교환식이지만, 튜닝 습식 에어필터는 반영구적이라 세척킷만 구매하시면 오래오래 재사용 가능하세요^^
깔끔한 우리 라이테크 정비부장님~ 에어필터 내부도 파츠 크리너로 깨끝하게 청소도 해주시고^^
에어크리너 박스 이제 제거합니다..ㅎㅎㅎ
바쁘신 부장님을 도와드리기 위해서 제가 텐덤시트를 열고 전선으로 기름통을 재껴놓았습니다..ㅋㅋㅋ
보조는 이런 맛에 하는것이죠^^
에어크리너 박스를 제거하니 스로틀 바디가 나오는군요~ ㅎㅎㅎ
거건 왜 저렇게 약간 재껴져 있는걸까요???
원래는 완젼히 닫혀있어야 하는건 아닌지^^
이유는 나중에함 알아봐야겠습니다..ㅋㅋㅋ
희미하게 보이는 저 스로틀 케이블~
04~06 알원은 정말 잘 만든 차량인듯 합니다..
저기 보이는 컨넥터가 ECU 컨넥터인데요~
차대 앞쪽 서 삼각형으로 생긴 곳에 단단하게 고정되어있습니다...
09년식 이상 알원은 좌측인가 우측 사이드 카울 안쪽에 있는데~
왜 거기다 장착이 되어있는지 ㅠㅠ
바이크에 뇌라고 할수있는 ECU가 슬립이나 사고에 노출되어있으면 흠~
왜 그렇게 설계했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그래도 야마하에서 만들었으니 이유가 있겠죠~
자 이제 스로틀 케이블을 제거해야 할시간이죠~
참 작업하기 뭐같습니다..
이래저래 고생끝에 케이블 분해~~ 완료~
이제 도미노 반그립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반그립은 금장과 검정이 있는데~ 저는 검정이 이뻐서 검정으로 구매하였습니다...
그립은 금색이 들어가면 좋은데~ 제고가 없어서 ㅠㅠ 그냥 레드로^^
원리를 설명 드리려고 이렇게 자세하게 찍어보았습니다...
좌측부터 순서대로 녹색은 60도
흰색은 55도
레드는 53도
쉽게 녹색이 스로틀 텀이 가장 크구요~
레드는 말그대로 반그립입니다...(반만돌려도 풀악셀이지요^^)
이테리 국기를 보시면 젤 위에가 녹색, 다음 흰색 다음 빨간색 이렇게 있습니다..
참 눈으로 쉽게 확인할수있는 방법을 사용하였지요~
딱 이순서입니다..ㅋㅋㅋ
자 다시 바이크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어느순간 케이블 모두 분해해서
새로운 도미노 반그립용 케이블을 만들기 위해 실측중입니다...
와이어 외피의 길이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만, 와이어의 길이는 아주 중요합니다..
거의 같게 만들어주시면 돼요^^
아참 04~06년식은 범용케이블로 직접 맞게 만들어야 하므로, 좀 골치아픕니다... 이해 바랍니다..
라이테크 정비 부장님 `~~ 정확한 야매 눈잣대로 열심히 길이를 맞춰서 제단 하고 계십니다..ㅋㅋㅋ
때로는 정밀한 치수가 중요하지만, 오랜 경험에서 나오는 노하우도 아주 중요하지요~
와이어 캡도 길이에 맞게 제단하고~
고가의 도미노 반그립과 케이블을 보다보니 순정 그립과 케이블은 참 허접해 보입니다.. ㅠㅠ
자 부장님이 케이블 조립하는동안~
저는 도미노 반그립의 원리를 나름 사실적인 방법으로 알아내었습니다...
일단 순정 그립입니다...
저렇게 보면 잘 모르시니 아래 60도 짜리 녹색부속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순정이 검정이라 잘 안보이지만, 녹색 그립이 조금 더 두꺼운걸 알수있습니다..
그래서 순정보다 약간 더 풀악셀이 짧아지게 되는것이구요~
위쪽에 사진을 보시면 흰색은 녹색보다 더 둘레가 넓다는걸 알수있습니다...
근데 빨간색은???
쉽게 녹색은 60도이니 순정보다 약간 굵고, 흰색은 55도이므로 5도라는 각도를 더 줄이기 위해 더 굵게 만들었습니다..
근데 빨간색은 녹색과 별반 차이가 없지만, 2도라는 각도를 더 줄이기 위해~
상어의 등 지느러미처럼 와이어를 땡겨주다가 치켜 올려주는 방법으로 흰색 55도보다 약 2도를 더 줄일수있게
설계한 것이지요~~
정말 감탄이 나옵니다...
솔직히 간단히 생각하면 흰색보다 더 둘레가 넓게 만들면 되지 않느냐? 이럴수있지만,
그럼 반그립 몸통의 부피가 더 늘어나서 멋도없고, 기능성으로도 좋지 않겠지요~
인간의 두뇌는 정말 대단하다 생각듭니다..ㅎㅎㅎ
이제 그립 각도에 대한 고찰은 정리하였고~
다시 부장님 옆으로 슬금슬금 갔지요^^
이미 와이어 하나는 연결하셨네요~ 허허~~~
위치를 열심히 잡고 계십니다...
아~ 순정그립보다 와이어 브라켓이 더 내려와 있기때문에 간섭이 생기지 않을까 싶어~
열심히 위치를 잡아봅니다...
나머지 하나의 케이블 ~~
연결중입니다..
저 납덩이에 잘 끼워넣으려면 와이어도 풀림없이 잘라야하는 고난위도 절삭신공을 가져야 합니다.. ㅋㅋㅋ
그냥 니퍼로 한방에 뚝 자르면 돼요~ ㅋㅋ
깔끔을 떨기 위해 빨간 열수축 튜브로 껴놓습니다...
저것이 반그립 케이블 완성사진이지요^^
무지 귀엽습니다..
허나 엄청난 시련은 이제곧 경험하게 되는것입니다...
재조립이죠 ㅠㅠ
공간이 안나오기때문에~
다시 끼워놓기가 너무 힘듭니다...
정말 재대로 하실려면
스로틀 바디까지 띄어내야 한다능 ㅠㅠ
아 저게 정말 안걸리더군요 ㅠㅠ
너무 짜증납니다...
여기서 잠깐 섭스의 주름살~~ 방법을 간구하면서 고심하고 있는 섭스입니다..
케니형이 놀러왔다가 제가 들고있던 카메라로 저를 도촬했는데~
작은 엘시디창으로 보니 오 ~ 선명하게 잘 찍어주신듯 했으나~
현실은~
핀 ~~~ 핀~~~~ ㅋㅋㅋ
케니형은 저에게 항상 말하지요~ 케논는 개논이야~
핀 안맞는 개논~
아무리 그래도~
이건 형의 잘못인데~ ㅎㅎㅎㅎ
진짜 짜증납니다... 왜 저기에 스로틀 케이블을 찔러 넣어야 하는거야~ ??? ㅠㅠ
헐 다음은 사진올리면 뒤죽박죽 올라가네요~ ㅠㅠ
이미 설명 을 했어야 하는 작업 사진인데~
뭐 아무튼 대충 보시면 이해 갑니다..ㅋㅋㅋ
이건 순정 케이블 입니다...
색상으로 표현을 한듯요^^
깨끝이 파츠크리너를 뿌려 불어낸 내 스로틀 바디^^
도미노 반그립 위치를 잡는데~ 너무 힘이듭니다..
아래로 내리자니 에어덕트 케이스에 간섭 생길듯 하고~
이런식으로 달자니 브레이크 레바를 못잡고~~ ㅠㅠ
참 지랄같네요~ 케이블 2개를 가운데 두고~ 브레이크 레바중간으로 잡아봤더니~
브레이크가 열받으면 꾹 눌렸을때 더이상 레바가 안들어갈까봐~ 저렇게도 못하겠고~
태백이나 영암에서 시합하시는 분들은 아실껍니다...
코너 들어갈때나 나올때 브레이크를 물고 나와야 할때도 있고, 엄청난 풀브레이킹을 해야 하는 곳도 있으므로
패드와 로터가 마찰이 생기면 열이나고 열이나면 오일이 끓구요~ 그럼 레바는 쭉 들어가고~
근데 거기 설치하면 ㅠㅠ
결국 아래로 내렸습니다.. 원래 위치이지요~
근데 헐~
약 2미리 정도의 공간이 생깁니다..
2미리이면 엄청난 치수이거든요^^
이제 마지막으로 구리스를 듬쁙 바른 53도짜리 레드를 끼워봅니다...
너무 고민 많이 했습니다.. 55도냐 ~ 53도냐?
근데~ 주위 사람들 하는말~
낄라면 레드껴라~ ㅋㅋㅋ
결국 낚여서 장착~~
엄청난 노력으로 와이어도 잘 끼워놓고~
스로틀 유격을 맞추면 조정작업을 하였습니다...
너무 딱맞게 조절하면 너무 민감해져서~ ㅎㅎㅎ
약간의 유격이 있도록 장착함~
다시 분해으 ㅣ역순 조립입니다...
하나하나 빠짐없이~ 찬찬히 조립~
심여를 기울여 죠낸 고생하는 제 모습을 찍어주신 케니형~
핀 재대로 나갔습니다..ㅋㅋㅋ
개논 카메라에게 당했음~ ㅋㅋㅋ
그러고 보니~ 완성 사진은 없네요~ ㅎㅎㅎ
그래서 이사진으로 대충 마무리 짓습니다..ㅎㅎㅎ
제가 반그립 달고 ~ 지난주에 처음 몇번 타봤는데요~
장점은 : 1. 반그립이라 스로틀 개방시 손목이 안아프고 편하다~
2.순정그립보다 더 빨리 스로틀을 개방하니~ 노클러치 기어변속시 쉽게 잘 들어간다~
3. 디자인이 씸플하고 이쁘다~
4. 반그립이 쫀득쫀득 해서 손에 쫙 달라붙는다~
5. 엄천나 반응력으로 죠낸 잘나간다~
뭐 이정도 장점을 들수있겠구 요ㅗ~
단점을 말하자면~
1. 스로틀이 민감해서~ 코너탈때 깜짝 놀랜다~
2. 스로틀이 민감해서 ~ 윌리할때 각잡기가 너무 힘들다~(살짝 비틀면 확 올라오고, 살짝 내리면 훅 떨어지고~ ㅋㅋㅋ)
3. 전용툴로 나왔으면 좋겠다^^ 와이어 케이블역시 범용으로 만들어 쓰는게 아닌 전용툴~
5. 가격이 좀 비싸지만 확실한 출력효과가 있다~
전체적으로 봤을때 가격대비 상당한 성능업이 되며,
코너를 탈때 재대로 반응을 봐야겠지만,
1,2초를 줄이기 위해 열심히 받이크를 타는 선수들께는 너무 좋은 튜닝 옵션이라 할수있겠다고 생각드네요~
아무쪼록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구요~
오늘 하루도 즐건 하루 보내세요^^
'섭스의 바이크 튜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테크 튜닝제품 설명 및 사용기(2013.08.22) (0) | 2016.09.19 |
---|---|
레이싱 FRP 카울 소간지 공도용 튜닝(2013.05.20) (1) | 2016.09.19 |
연비개선제 그라비티 사용기(2012.05.29) (0) | 2016.09.19 |
흡배기 튜닝과 파워코멘더의 이해 그리고 맵주입 및 테스트^^(2011.10.25) (0) | 2016.09.19 |
LED 튜닝의 기본상식 (2010.02.25) (0) | 201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