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그래도 각각 전압 체크 방법을 정확히 알려고 합니다.
참고로 바이크 기종은 2006년식 YZF-R1
HEAD 퓨즈가 나가서 퓨즈를 교체한후
바이크 시동은 한번에 걸립니다.
그런데 몇 km 주행후 시동을 끄고 몇분후 시동을 걸려고 하는데..
시동이 걸리지가 않습니다.
배터리 사망 판단 후 새 배터리로 교체후
9일만에 시동을 걸었을때 이상없이 한방에 걸렸습니다.
일발 시동 후 약 12km를 주행후 시동을 끄고 20분쯤 후에 시동을 걸려고 하니깐
시동이 걸리지가 않습니다.
강제시동으로 시동을 걸었는데..
엔진체크 점등이 되고 에러코드 46 이 나타나면서 시동이 꺼졌습니다. ㅡ.ㅡ;;
전압체크기(?)로 각각 전압을 체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대충만 알고 있어서...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압니다.
전압 체크기 사용법도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배터리 전압은 배선을 모두 분리한 상태에서 체크하는건가요?
배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키 ON상태로 해도 무방하나요??
배터리 전압 체크할때와 제네레이터 전압 체크할때 전압체크기(?)를 다른 설정으로 해놓고 해야하는지?
배터리 전압 체크할때 설정으로 그대로 체크해도 되는건지...
마찬가지로 레귤레이터도 같은 방법으로 해야하는건지?
전압체크기 사용방법을 잘 몰라서 시동을 건 후 스내칭했을때 전압이 몇 V 이상 나와야 제네레이터가 정상인건가요??
배터리 불량시, 레귤레이터 불량시, 제네레이터 불량시 각각 전압이 어떻게 나오나요??
배터리 전압을 측정 하는 방법이 2가지 있습니다..
1. 저항측정기로 측정하는 방법
- 저항측정기는 카센타 같은곳에 가보면 게이지가 나와있는 몸체에 점프선 집개가 연결된 장비를 말합니다..
쉽게 저항을 걸어줘서 베터리에 강제로 부하를 걸어~ 전압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체크를 하여, 베터리 교체시기를 확인 하는것입니다..
기종은 06년 알원SP로 가정하고 쉽게 셀모터로 예를 들겠습니다...
바이크가 키온을 하면, 일단 연료펌프가 동작하면서, 계기판 전원등이 들어오며, 미등이 들어옵니다.(약간의 전류소모를 하고있음)
연료펌프가 멈추면 시동을 걸면 셀모터가 돌아가면서 급격히 베터리의 전류를 빼앗아 옵니다..
이순간을 저항측정기가 대신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해를 위해 쉽게 설명 드린것입니다.. 착오없으시길)
그래서 저항측정기는 쉽게 테스트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2. 전압을 보고 측정하는 방법
- 우리 바이크 베터리는 자동차 베터리와 틀리게 용량(AH)이 작기때문에 방전위험이 큽니다..
그래서 초기 시동을 걸수있는 베터리 잔량이 남아있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전압으로 대충 알아볼수있는겁니다..
시동을 끄고 키를 뽑은 상태가 무부하 상태인데 그건 모든 전기가 차단되었을때를 말합니다.
키를 온하면 아주 기본적인 전류소모로 (미등,게기판등, 연료펌프 등등) 셀모터를 돌리기 직전에 전압인데
이건 무부하라고 할수는 없지요 하지만 이상태가 가장 중요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이때 전압이 9V 이하이면 쉽게 방전입니다.. 자연적으로 베터리가 방전되는것이지요~
그럼 교체해줘야 한다고 가정할수있는겁니다.
건강한 베터리는 1주일을 그냥 세워놔도 12v 가 자연적으로 나와줘야겠지요~ 못해도 11V 는
나와주어야 합니다...
추가로 퓨즈 암페어를 잘못 교체했을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도 알려주세요.
HEAD로 써있는 곳이 30A 가 맞나요?
퓨즈는 쉽게 부하의 적정 한계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퓨즈용량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녹아 전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거지요~
그래서 퓨즈는 적정용량에 맞게 설치를 해주어야 맞습니다..
참고로 예를 들자면, 바이크에 HID를 달았을경우 퓨즈를 20A 짜리로 바꿔주라고 권장합니다..
이유는 HID고장으로 과부하가 생길수있는데 만일 퓨즈용량을 더 크게 잡았다면 HID 발라스터 및 벌브에 치명적인 고장이 일어날수있고,
배선 어느 부분에서 불음현상(타버림)이 일어날수도 있기에 퓨즈는 맞는 용량으로 끼워주어야 맞습니다...
바이크를 입고 시킨곳에서는 제네레이터가 이상이라고 하는데..
예전에 2001년식 알원이 시동 불량과 시동꺼짐 현상때문에 배터리 교체하고 그 다음에 제네레이터 재생까지 했는데..
얼마 오래가지 못하고 같은 증상이 일어나서 수리비만 계속 퍼부었던 경험이 있어서..
전기쪽은 원인 파악을 정확히 못잡으면 수리비가 많이 들어서..
이번에는 한번에 증상을 해결해보려고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일단 돈이 적게 들어가는 순서대로 점검을 하시면 됩니다...
1. 베터리 ~(위에 두가지 방법중에 선택한후 체크)
2. 누설전류 테스트(쉽게 키를 뽑았을때 베터리가 방전되는지 안되는지 테스트 하는 방법)
- 예를 자동차로 들겠습니다.. 키를 뽑았는데~ 비상등을 켜놓으면 베터리가 방전되지요?
비상등은 상시전원이라 키가 있든 없든
언제나 누르기만 하면 켜지는데 켜놓았을때 전기가 다른곳으로 센다고 하는것이지요~ 이게 누설전류입니다.....
3. 제네레이터 ~(제네레이터는 교류(AC)전기를 만들어 정류기를 거쳐 직류(DC)전기를 만들어냅니다.. 제네레이터에서
3가지 선이 올라오고 A-B, B-C, A-C 이런식으로 저항을 측정해보시면 됩니다..
3번 체크 했을때 저항값이 비슷하지 않은선이 있다면 그건 100% 제네레이터에서 전기를 재대로 못올려주는것이죠~
그렇게 테스트 해보시길 바래요^^
3. 레귤레이터 ~(정류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 스로틀을 최대로 당겨도 14.5V 이상안올라오게 하는 장치인데~
과전압이 발생되면 다른 장비들도 문제가 생길수 있으므로, 더이상 전압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레귤레이터 점검 방법은 얇은 장갑 끼고 만졌을때 미지근 하면 정상, 엄청 뜨거우면 고장 뭐 이런식으로 생각하심 됩니다.
'섭스의 바이크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랄루민이라고 아세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이야기(2013.01.28) (0) | 2016.09.19 |
---|---|
오일 5W50, 10W40 등 점도에 따른 분류에 대해 궁금하신분들 참고하세요^^ 쉽습니다...(2012.09.11) (0) | 2016.09.19 |
제네레이터란? (2012.07.26) (0) | 2016.09.19 |
바이크 빨리달리는게 잘타는거 아닙니다... 사고관련~ (2012.06.28) (1) | 2016.09.19 |
온도에 관한 섭씨와 화씨 변환 정보(2012.03.28) (0) | 201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