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위즈 125 튜닝'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9.19 비위즈 125 전기쪽 DIY 작업(2011.03.24)
posted by 섭스 2016. 9. 19. 15:00

 

안녕하세요 섭스입니다.. 간만에 튜닝 다이기 올리네요~ 지금은 뚜벅이 신세라 알원은 아니고, 이번에 여친 입문용으로

 

구입한 (여친이 구입한거죠 ㅋㅋㅋ) 씽씽이 전기쪽 DIY 작업을 소개할까 합니다...

 

몇일동안 짬시간내서 작업한 내용을 올려드릴텐데 혼자만 알고 있을려고 하다가, 여러회원님들과 함께 나누고자 이렇게

 

올립니다...

 

레플레카도 이런식으로 작업 가능하니 참고만 하시고, 세컨으로 수쿠터 타시는분들도 함 해보심 좋을듯 해서.ㅎㅎㅎ

 

자 시작해 볼까요???

 

 

 

여기는 제가 근무하고 있는 회사의 지하2층... 물탱크실, 소방펌프실, 보일러실등 건물에 중요한 시설물들이

 

있는 곳이죠 관계자외는 출입금지 구역입니다..ㅋㅋㅋ 

 

아마 저 씽씽이는 처음으로 엘리베이터를 타지 않았나 싶구요~ 제가 알원타고 있을때는 알원의 길이가 엘리베이터에

 

맞지않아 알원도 못내려가본 곳입니다...  DIY 장소로 딱이죠~ 춥지도 않고, 밝고~ ㅎㅎㅎ

 

아래에 요건 무엇이냐???

 

 

말그대로 시티에이스 2 텔 앗세이 입니다... 가격도 보이시죠? ㅎㅎㅎ

 

살수있는 온라인 판매점 상호도 있군요~

 

 

요즘 우리나라 대림제품도 퀄리티가 뛰어납니다.. 시티에이스에 LED 브레이크등을 쓸지 누가 알았겠습니까?

 

분해를 해봤습니다... 아참

 

분해서 그냥 분해가안됍니다.. 이유는 방수문제로 인하여 고무본드같은게 발라져 있기 때문에요~

 

올 겨울 너무 추워서 화장실 배관이 동결된적이 있어~ 녹이기 위해 기안올려서 아주 좋은 열풍기 하나 구매하였습니다..

 

어짜피 시티에이스 커버는 쓰지 못하기 때문에 그냥 막 열로 녹이면서 뜯어냈습니다... ㅎㅎㅎ

 

 

자 뜯으니 이렇게 나오는군요~ 아주 이쁩니다.. 하지만 신비125의 텔등으로 쓰기에는 등간격이 너무 가깝고

 

또한 케이스 내부에 들어가지 못할꺼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ㅠㅠ ..OTL 

 

 

역시 뒤에도 하나의 기판입니다.. ㅠㅠ

 

근데 한가지 아쉬운건 대림 시티에이스2가 처음 출시됐을때 나왔던 텔 앗세이는 앞에 LED 아세이처럼 기판이 2개로

 

나누어 져있다고 하더군요~ 사실 그걸 노려서 같은 파츠넘버라도 재고로 보내달라고 했습니다만, 

 

내부를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뽑기라고 ㅠㅠ

 

결국 저는 잘못 뽑은겁니다... 일이 많이 지거나 실패하거나 아님 새로 LED를 일일이 다 박아줘야 하는 불상사까지

 

생길수있기 때문이였죠~

 

그래서 비밀리에 성공하면 알려드리려 했던 겁니다..ㅎㅎㅎ  

 

 

자 다시 씽씽이한테로 돌아왔습니다...

 

이건 드레스업 뒷브레이크 레바~ 사실 사올때부터 브레이크등이 안들어오길래~ 확인해본결과~

 

레바 안쪽에 브레이크가 동작되도록 설계된 센서가 맞닫는부분이 빈번한 사용으로 인하여

 

닳아 잘 눌러지지 않았던게 문제였던거 같아, 전주인에게 레바를 요청하였습니다..

 

전주인이 착한 동생이라 선물로 주더군요~

 

 

성수동에서 알원알식스 및 야마하 바이크 전문으로 샾운영을 하고있는 친한 동생이 준 LED 깜빡이~

 

그리고 전주가 선물로 준 비위즈125 드레스업 레버~ 

 

 

자 텔등 분리를 하기 위해 다시 바이크로 왔습니다... 아주 쉽게 탈부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별모양 렌치가 있어야지만 텔등을 분리할수있다능~ ㅋㅋㅋ

 

이건 요즘 철물점 가면 휴대용으로 싸게 판매하오니 하나씩 가지고 계셔도 좋으실듯 합니다..ㅎㅎㅎ

 

시간을 단축하게 하기 위해 LED 깜빡이 먼저 달았습니다...

 

 

비위즈 125 텔 아세이~ 분해~

 

역시 눈알사이가 넓습니다..ㅠㅠ

 

 

자 이제 제가 근무하는 사무실로 왔습니다... 미친 도전을 시작하기 위함이죠~

 

좌측 상단부에 보이는 열풍기가 저거 입니다.. 자동차 튜닝중 꼭필요한 공구지요~ ㅋㅋㅋ

 

비싼거라 온도도 LCD창에 표시되며, 최대 250도 이상 가열도 됩니다..ㅋㅋㅋ

 

시티에이스 텔 앗세이 분해할때 연습을 많이해서~ 절대 녹이거나 망가뜨리지 말아야 하는 씽씽이 텔등은 잘 분리했습니다.

 

시티에이스 LED 킷을 비위즈 텔등 속에 넣어봤더니 안들어가서 그냥 무작정 톱으로 잘랐습니다...

 

그리고 또 자르고, 또자르고, 니퍼로 찢는듯이 하니 동그랗게 모양이 나오더군요~

 

 

저 아래 잔해물들~ 잘 보시면 플라스틱을 찢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르다 짜증나서 해봤더니 찢어집니다...

 

 

자 두개 잘 찢어서~ 대보았습니다... ㅎㅎㅎ 그래도 간격이 ㅠㅠ

 

그래서 어떻했냐? 

 

 

 

일단 글루건을 이용하여~ 동그란 놈을 이식했습니다...

 

 

 

밖에서 잘 보면서 방향을 맞춰야 합니다.. 안그럼 쏘는 방향이 좀 틀어져서 이쁘지가 않을ㄲ ㅓ같더라구요~

 

 

 

이번에는 기판입니다...

 

저는 전기가 전공이지 전자가 전공이 아니라서 , 기판에 대해 잘 모르는데 ~ 전기전공도 파트가

 

여러가지가 있어서 전동기 쪽은 에나멜코일도 감고, 납땜도 하고 그래서 약간의 생각만으로

 

도전해보기로 했던거죠~

 

그래서 회로 판을 잘보고 자르기로 결정햇습니다...

(기판 아래쪽을 보시면 배어먹은것처럼 자는거역시 신비125 텔등에 넣기위함입니다. ) 

 

그냥 막 자를수가 없기때문에 일단 아주 얇은 드릴날 1mm ?? 로 구멍을 뚫으면서 길을 만들었지요~

 

날이 너무 가늘어서 그런지 날 2개 부러지는 사태도 발생하고.

 

결국 구멍뚫은 길을 톱으로 잘해서 잘라냈습니다.. 

 

기판의 연결을 잘라버렸기 때문에 뻔히 안들어올꺼라 생각들어서~

 

생각했던데로 기반에 구멍을 뚫고 전선으로 양쪽을 연결해주었습니다...

 

 

요렇게 말이죠~ 보이시나요? 좌우 기판에 위아래로 전선이 연결된걸???

 

성공적이였습니다... 하하하

 

그래서 이젠 설치를 하자 맘먹고~

 

 

 

LED가 부착된 기판까지 넣었습니다.. 잘 보시면 전선있는부분에 기판을 왜 사과 배어먹은듯

 

잘랐는지 이해가 가실껍니다.. 유선형이 모이는 지점이라 기판을 딱 맞게 설치하려면

 

방법이 없는거죠~ 자르는 수밖에~ ㅋㅋㅋ

 

 

어짜피 전구를 안쓸꺼기 때문에 번호판등도 같이 해주자 싶은 생각이 들어 또 뻘짓을 했습니다..

 

요즘 간판에 LED가 많이들 들어가는데 간판내부에 들어가는 칩 LED 입니다.. 국산이며

 

고가라 수명도 아주 길어요~

 

간판 A/S 받을때 종류별로 몇개 받아둔걸로 또 DIY ㅋㅋㅋ

 

 

 

방수문제가 크기 때문에 전과정은 생략하고 글루건으로 내부에 고정할껀 다하고, 방수장치도 다하고

 

조립 완료하였습니다...

 

아~~  사진에는 없지만 조립시 반사판을 좀 잘라줘야 합니다.. LED 회로를 이식했기때문에

 

반사판이 길다보니 톱으로 잘라줘야 조립이 완료됩니다.. 참고하세요^^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모든 작업을 마쳤으나 LED 깜빡이기 때문에 오동작을 하더군요~

 

번대기 전구를 걸어 테스트도 다 해봤으나, 번대기 전구는 딱 하나뿐(메인 브레이크등 잘라낸거)

 

한쪽방향 으로 시그널을 줬는데도 반대쪽까지 시그널이 가더라구요~

 

아무래 테스트 해봐도 안돼서 아는 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번대기 전구 도 하나 얻어오고~

 

다시 순정상태로 돌려서 테스트 해보고~

 

결론은 전구의 용량이였습니다...

 

오토바이나 차나 모든 차량은 한방향 깜빡이를 사용할때 앞에든 뒤에든 하나가 나가면 빨리 점등됩니다..

 

그건 부하가 두개가 물려야 정속도로 점등되는데 하나가 죽었기 때문에 부하하나로만 전원을 공급하다보니

 

속도가 빨라지는 이유거든요~

 

고민고민 끝에 부하매칭 저항을 달기로 결정했습니다.. 부하매칭저항을 선택한 이유는

 

릴레이 개조 또는 번대기 전구 추가설치가 더 안전하나,

 

릴레이는 분해를 할수없게 되어있고, 번대기 전구는 제가 센터업을 하는것도 아니고 일반 직장인이라

 

번대기 전구와 소켓을 쉽게 구할수가 없기 때문에 옥션을 뒤지다가 급 땡기는게 있어 같이 주문하느라

 

그냥 부하매칭저항으로 선택했습니다...   

 

주문 사항은 TSM 4개, 10W 10옴 시멘트저항 4개, 20W 10옴 시멘트 저항 2개

 

이렇게 주문했습니다..

 

릴레이 정격이 10W 이나, 테스트시 27W 브레이크 등을 이용해야지만

 

규정속도의 깜빡이 시그널이 나오는걸 확인했거든요~

 

혹시 몰라서 20W 짜리도 같이 구매했습니다...

 

 

 

 

이 TSM 멀티 릴레이는 뭐냐?

 

쉽게 말씀드리자면 각각 하나의 또다른 릴레이 입니다.. 여분의 2개더 주문하긴 했지만,

 

귀차니즘으로 열수축 튜브를 잘라서 내용물을 확인해보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릴레이 맞습니다.. ㅎㅎㅎ

 

원리는 바이크든 차든 미등을 켰을때 깜빡이가 미등이 됩니다... 그리곤 좌우로 점멸신호를 줬을때는

 

깜빡이가 신호를 준쪽으로 점멸됩니다...

 

이건 젤 마지막에 동영상도 찍은게 있는데 그걸 보시면 이해가 되실껍니다...

 

 

 

10W 시멘트 저항~ (중국산 같습니다.. 모양이 울퉁불퉁한 부분도 있는걸 봐서 국산이 아닌듯요^^)

 

 

일단 이렇게 가지고 내려가 보았습니다...

 

 

브레이크 텔등 마무리도 잘 지어놨고, ㅎㅎㅎ

 

 

이건 최종적인 사진인데~ 귀차니즘으로 중간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

 

뭐 순번은 이러합니다...노란 선은 미등선입니다.. 공통으로 좌우 같이 물리면 되구요~

 

검은선은 -선이기 때문에 깜박이 -선에 각자 연결합니다...

 

초록색 선은 바이크의 깜빡이선에 각자 연결

 

빨간선은 LED(부하측)깜박이 + 선에 연결하면 됩니다...

 

여기서 저항은 안보이죠?

 

원래 10W 저항을 달아서 테스트 해봤더니 엄청 뜨거워져서 20W 로 바꿔달면서 부착위치 공간이 없기 때문에~

 

앞에 안쓰는 깜빡이 선에 연결해서 잘 고정해 버렸습니다..

 

부하매칭저항의 단점~

 

열이 나기때문에 타 배선과 묶으면 녹아버릴수도 있습니다... 열이 전도되지 않을만한 충분한 공간에 잘 부착해놔야 문제가

 

발생안합니다...

  

 

비상등도 달아주려고 작업했습니다...

 

 

위치를 고미고민 하다가 저기다 다는게 낫겠다 싶어~ 10mm 드릴날로 구멍을 뚫고 칼로 잘 다듬어서~

 

 

 

요로코롬 이쁘게 달아놨습니다...

 

 

자 보이시나요? 차대 있는쪽에 나와있는걸? 헨들을 돌려도 간섭이 없습니다..ㅎㅎㅎ

 

아참 저기 크락션 뒤에 검은 물체를 굵은 전선으로 묶은거 보이시나요?

 

저게 부하매칭저항 입니다.. 저기 다니까 배선이 녹거나 그럴일 없겠죠?

 

고정은 케블타이가 아닌 2mm 동선으로 잘 고정시켜 놨구요~ 뒤에 깜박이 배선 자른것을 잘 이어붙여

 

앞쪽 깜빡이 컨넥터에 고대로 연결했습니다..ㅎㅎㅎ

 

 

비상등 배선을 연결하려고, 스위치 선을 확인했습니다...

 

주,검, 파  저기 보이는 저 3 선을 쇼트 시키면 비상등 점멸됩니다...

 

저는 지금 현재 LED 깜빡이이며, 규정 속도보다 조금 빠르게 점소등 되기때문에~

 

릴레이를 안갈아도 될꺼라 생각들어 테스트를 해봤더니...

 

와우~ 정속도로 비상등이 동작되더군요~

 

순정 전구로 깜빡이 쓰시는 분들은 아마 비상등 작업시, 릴레이도 같이 갈아주셔야 할껍니다...

 

 

요로코롬 이쁘게 연결 시켜놨습니다...

 

자 이제 다 끝났네요~

 

출근하고 결제받고 8시 30분부터 글쓰기 시작했는데 벌써 1시간이 지나갑니다...ㅎㅎㅎ

 

마지막으로 동영상 올려드립니다...

 

좋지않은 목소리지만 설명도 같이 했으니, 들으면서 보시면

 

좀더 이해 되실듯합니다...

 

해놓고 보면 별로 건든게 없는거 같지만, 정성이 중요한거 아니겠습니까?

 

뭐니뭐니해도 전기장치들은 안전을 위한거니까요^^

 

그럼 좋은하루 되세요~

 

아래 동영상 ... ㅋㅋㅋ

 

내 목소리가 이렇게 나빴나? 목소리 짱나~ ㅋㅋㅋ

 

 작업 완료 설명 1부

 

http://tvpot.daum.net/v/BhfRwTAQxME%24

 

 

 

작업 완료 설명 2부

 

http://tvpot.daum.net/v/Yc6xvI6rqvA%24